닫기

- 한국방문건강관리학회 로그인 화면입니다. -

홈으로학회지규정

규정

논문투고규정

제정 : 2020.09.01.
개정 : 2023.03.25.
개정 : 2024.03.10.

학술지 소개 : 발간목적 및 간기

1. 한국방문건강관리학회지는 한국방문건강간호학회의 공식 학술지로서 방문건강관리와 관련된 간호학, 보건학 등 이론, 실무, 교육 분야에서 이루어진 연구를 게재하며, 기타 분야와 주제에 관한 논문은 편집위원회의 결정에 의하여 게재할 수 있다.
2. 한국방문건강관리학회지의 약어는 J Korean Cus Visit He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ustomized Visiting Health Care, JKCVH)이다.
3. JKCVH은 논문의 출판을 통해 국민의 건강유지, 건강증진, 질병예방 및 회복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 로 한다.
4. 학회지는 연간 2회(6월 30일, 12월 31일) 국문으로 발간한다. 게재 논문 수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5. 본 학술지는 한국방문건강관리학회 홈페이지(http://www.kvhc.or.kr/) 의 ‘학회지-논문자료실’ 메뉴에서 논문검색을 통해 해당 권 호의 논문 전문에 대한 무료 접근(논문 보기, 내려받기 등)이 가능하다. 또한, 한국방문건강관리학회지는 개방 잡지(open access)임을 천명한다.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6. 학회지에 대한 문의사항이 있을 때에는 편집위원회로 연락하며, 연락처는 학술지 뒷면 판권란에 기재한다.

윤리규정
1. 본 학회지에 투고하는 논문은 다음의 윤리규정을 지켜 작성하여야 한다.
1) 모든 원고는 과학학술지편집인협의회(CSE, http://www.councilscienceeditors.org/), 국제의학학술 지편집인협의회(ICMJE, http://www.icmje.org/), 대한의학학술지편집인협의회(KAMJE, http://www.kamje.or.kr/intro.php?body=eng_index)에서 권장하는 연구윤리 및 출판윤리 가이드라인을 엄격히 준수하여 작성해야 한다.
2) 연구대상이 사람인 경우, 헬싱키 선언에 입각하여 대상자 또는 보호자에게 연구의 목적과 연구 참여 중 일어날 수 있는 정신적, 신체적 위해에 대하여 충분히 설명하여야 하고, 이에 대한 동의를 받았음을 명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또한 기관윤리위원회(IRB)의 심의를 통과한 논문을 투고받는 것을 권장한다. 단, 문헌고찰, 메타분석, 이차분석 등의 경우에는 편집위원회 결정에 따라 면제여부를 결정한다.

2. 다음과 같은 연구 부정행위가 있는 논문은 게재하지 않으며, 관련 세부사항은 편집위원회에서 정한다.
1) 위조: 존재하지 않는 자료나 연구결과를 만들어내고 이를 기록하거나 보고하는 행위
2) 변조: 연구자료, 장비 또는 과정을 조작하거나 자료나 연구결과를 변경하거나 생략하여 연구 기록이 진실에 부합하지 않게 하는 행위
3) 표절: 정당한 권한 없이 타인의 아이디어, 과정, 결과 또는 기록을 도용하는 행위

3. 중복게재 및 중복투고를 금지한다.
1) 타 학회지에 게재되었거나 투고 중인 원고는 본 학회지에 투고할 수 없으며, 본 학회지에 게재되었거 나 투고 중인 논문은 타 학회지에 게재할 수 없다. 저자가 본 학회지에 게재된 원고를 다른 언어로 이차 게재하고자 하는 경우, 양 학회지 편집위원장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2) 투고 및 게재예정인 논문의 경우, 중복게재 등의 연구윤리 위반여부는 편집위원회에서 검토 및 심의하 여 결정하고, 이미 출판된 논문이 연구윤리 위반으로 제소된 경우, 윤리위원회에서 최종 심의하여 결정한 다.
3) 게재불가된 동일 논문의 재 투고 시에는 대폭 수정한 경우에 한하여 1회까지만 허용한다. 재 투고 시 에는 자가점검사항의 재투고 난에 체크하고 위반 시 2년간 투고를 금지한다.

4. 젠더혁신정책) 세포실험, 동물실험 또는 임상연구(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모든 연구)논문에서 생물학적 성(sex)또는 사회문화적 성(gender)을 올바르게 인식하고, 논문에 아래 내용을 포함한다.
1) 성별 기술에서 sex(생물학적 요인 보고 시)와 gender(정체성, 정신사회적 또는 문화적 요인 보고 시)의 용어를 구분하여 올바르게 기술한다.
2) 남성과 여성을 모두 포함하여 연구한 경우,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발표한다.
3) 단일 성을 대상으로 연구한 경우, 이에 대한 학술적으로 타당한 근거를 제시한다.

5. 출판된 논문이 연구윤리 위반으로 제소된 경우, 편집위원장이 당연직으로 포함된 윤리위원회가 소집되고 연구위반행위의 심의절차를 규정에 따라 진행한다.

6. 게재된 논문이 연구윤리 위반행위로 판정이 될 경우, 본 규정 및 연구의 일반적인 윤리원칙을 위반한 회원은 다음에 따르며, 기타 관련 사항은 윤리위원회에서 결정한다.
1) 해당 논문에 대한 철회 사실과 사유를 학회 홈페이지에 공개한다.
2) 논문저자는 향후 본 학회지에 3년간 논문투고를 금지한다.
3) 학회지 목록에서 해당 논문을 철회한다.
4) 저자의 소속기관에 징계사항을 통보한다.
5) 기타 학회에서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조치를 취한다.
저자자격
1. 저자의 자격은 연구에 직접 참여하여 저작물에 유의미한 기여를 한 사람에게만 부여한다.
2. 제1저자 및 교신저자는 반드시 본 학회의 회원이어야 하며, 비회원은 다음의 경우에 투고할 수 있다.
1) 본 학회의 정회원과 공동연구를 하였을 때
2) 본 학회 이사의 추천을 받았을 때
3. 학위논문(석사, 박사)을 투고하는 경우 반드시 학위논문임을 명시해야 하며, 논문의 제1저자는 학위수 여자여야 한다. 학위논문(석사, 박사)의 경우는 학위수여자 외에 지도교수 1인에 한하여 공동 혹은 교신저 자로 허용한다.
4. 투고 시의 저자목록에서 저자의 이름을 추가, 삭제하거나 혹은 순서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원고 게재판 정 이전 편집위원회의 승인이 필요하다.
5. 논문 투고시 주저자(1저자와 교신저자)의 경우 ORCID를 제출하며 해당 ID는 https://orcid.org에서 만들 수 있다.
이해관계
교신저자는 자료해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모든 저자의 잠재적 이해관계의 충돌에 대한 정보를 편집 위원에게 알려야 한다.
잠재적 이해관계 충돌의 예에는 고용, 자문, 주식 소유권, 사례금, 유료전문증언, 특허신청/등록, 기타 연구비 수여 또는 지원이 포함된다. 잠재적 이해관계 충돌이 원고준비 과정에서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 음을 모두 저자가 확신하는 경우에도 이에 대해 원고에 기술해야 한다.
제출선언
원고를 투고하는 모든 저자가 JKCVH의 출판원칙을 준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투고된 원고는 이전에 출판된 적이 없으며(초록, 공개강의의 일부, 학위논문형태의 출판 제외), 다른 학술지에서의 출판을 고려하 지 않아야 한다. 투고된 원고의 출판이 모든 저자와 해당 연구가 수행된 관련 기관의 묵시적, 명시적 승인 을 받았으며, 게재가 확정되는 경우 해당 저작물을 저작권 소유자의 서면 동의 없이 전자적 형태를 포함해 동일한 형태의 다른 언어로 다른 학술지에 출판하지 않을 것에 묵시적으로 동의하는 것을 의미한다.

원고 제출

1. 본 학회지에 게재 가능한 논문의 종류는 종설, 양적 연구, 질적 연구, 메타분석, 사례연구 등이다. 본 투고규정에 부합되지 않는 원고는 접수하지 않는다.
2. 원고 제출은 온라인으로 한다. 1) 원고는 온라인 논문투고 시스템을 통해 투고한다. 논문심사, 편집자의 게재여부 결정 및 재수정 요청을 포함한 모든 서신이 온라인 투고시스템을 통해 처리된다.
2) 원고를 투고할 때 투고 전 자가점검사항을 확인한다. 자세한 사항은 한국방문건강관리학회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온라인 논문투고 시스템 이용 안내’를 참조한다. 시스템 사용에 대한 문의사항은 한국방문건강관리학회 편집위원장에게 이메일을 이용하여 문의한다
. 3. 온라인 투고시스템을 통한 투고 시 ‘원저파일’,‘심사용파일’, ‘문헌 유사도 검사 결과’,‘자가점검사항' ’저작권이양동의서‘를 제츨한다. 1) ‘원저파일’은 저자 및 소속 기관의 표기를 그대로 두고, “심사용파일”은 저자 정보가 없는 파일을 제출한다.
2) 논문 파일과는 별도로 ‘문헌 유사도 검사 결과’파일을 첨부하여야 한다. 온라인 투고 시스템의 해당 페이지 왼쪽 하단부에 “KCI 문헌유사도검사서비스” 부분을 클릭하여 유사도 검사를 마친 결과지 파일을 제출한다.
3) ‘자가점검사항 등 업로드’폴더에는 ‘자가점검사항’’저작권이양동의서‘파일을 제출하고, 추가로 기타 원문과 관련한 파일이 있을 경우 파일을 제출한다.
4. 논문 심사 시 소정의 심사료를 부과한다.
5. 투고된 논문이 한국방문건강관리학회지에 출간될 경우 저작권은 학회에 이양하게 된다. 학회는 해당 논문에 대한 저작권과 디지털 자료에 대한 전송권을 갖는다.
6. 셀프아카이빙 1) 논문지의 셀프아카이빙 정책은 Post-Print를 원칙으로 한다.
2) 저자는 셀프아카이빙을 목적으로 해당 저자에게 저작권이 있는 논문이 논문지에 게재된 후 해당 논문에 대한 일체의 추가, 삭제, 변형없이 PDF 형태의 전자파일로 저자가 직접 운영하는 웹싸이트에 게시 및 보관할 수 있다.
3) 저자는 셀프아카이빙을 목적으로 해당 저자에게 저작권이 있는 논문이 논문지에 게재된 후 저자가 직접 운영하는 웹사이트에 논문지 웹싸이트의 해당 논문 링크를 게시할 수 있다.
4) 저자는 게재된 논문 외 투고 초안, 편집 중인 논문 등 게재 이전 상태의 논문(Pre-Print)를 일체 공개할 수 없다.

원고 작성

일반사항
1. 원고는 국문 또는 영문으로 작성한다.
2. 제1저자와 공동저자는 구분하여 표기하되 소속 및 직위를 명시한다. 첫 번째 표기되는 저자가 제1저자 이며, 그 다음 표기되는 저자는 공동저자로 구분하되 교신저자는 반드시 표기한다.
3. 게재논문 인쇄의 교정은 저자가 하며, 논문 게재 시 소정의 게재료를 부과 또는 면제 여부를 결정한다.
4. 학회지에 게재하는 논문의 원고 투고요령은 다음과 같다.
1) 겉장에 제목을 기재하고, 하단에 연구자들의 성명과 소속(직장)을 한글과 영문으로 기입하며, 연구자 중 교신저자의 영문 성명, 소속(직장), 주소 및 우편번호, 전화번호, 팩스번호 및 이메일 주소를 기재한다.
2) 1페이지 상단에 주요용어(Key words)를 기록하고, 제목을 기입하되, 저자명은 생략하고 각 페이지에 번호를 기입한다.
3) 원고는 A4 용지에 한글 또는 MS word로 작성하며, 페이지 여백은 모든 면을 1 inch 또는 25mm로 설정한다. 서체는 한글은 신명조, 글자크기는 10포인트, 영어는 Times New Roman 서체, 12 포인트로 한다. 표지, 초록, 본문, 참고문헌 페이지의 줄간격은 200% 혹은 double space로 작성하며 표, 표 제목, 그림 제목 등의 줄간격은 100% 또는 single-space로 설정한다. 모든 페이지에 페이지 번호를 설정하며, 전체면수를 20페이지 이내로 한다(영문초록을 포함하여 20페이지가 넘는 원고는 접수하지 아니한다).
4) 국문 논문일 경우 영문초록(영문 논문일 경우 국문초록)을 별지로 작성하며, 초록은 250단어 이내 로 한다.
5) 영문약자를 사용해야 할 경우에는 처음 사용할 때 풀어쓴 후 괄호 안에 약자를 기입한다.
6) 표준 약어와 단위는 Citng Medicine: The NLM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Style Guide for Authors, Editors, and Publishers 제2판(2007)을 참조한다.
7) 논문에서 사용하는 연구도구는 도구 개발자의 승인을 받아서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8) 괄호( )를 사용할 때의 띄어쓰기는 괄호( )앞에 영문이나 숫자가 올 때는 띄어 쓰고, 국문이 올 때는 붙여서 쓴다. 괄호 다음에 오는 조사는 붙여서 쓴다.
9) 홈페이지를 통해 투고하였어도 원고의 면수, 원고내용 순서 조직 등 투고지침을 따른 원고만을 접수 한다.
10) 연구의 재정보조에 관한 안내는 첫 장 하단에 기재하고, 감사의 글은 ’결론 및 제언‘ 다음에 기술한다.
논문의 구성
1. 원고의 구성은 겉표지, 제목, 영문초록, 본문(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참고문헌, 표, 그 림의 순으로 하되 문헌고찰은 꼭 필요한 경우에만 제시한다. 특별 논문이나 기고문(special paper) 등의 경우는 그 구성을 달리할 수 있다. 본문(참고문헌, 그림, 표, 감사의 글 포함)에는 무기명 심사를 위해 저 자의 이름 또는 기관과 같은 신원 정보를 기재하지 않는다.
2. 겉표지
[부록 1] 겉표지 작성 안내를 참조한다.
3. 제목
제목은 간략히 표현하되 한글 제목과 영어 제목을 일치시킨다.
4. 영문초록
Purpose, Methods, Results, Conclusion 소제목 하에 단락 구분 없이 연속적으로 기술한다. 초록의 하단에 영문 주요어(Key words)를 5개 이내로 기록한다. 영문 주요어는 MeSH (www.nlm.nih.gov/mesh/MBrowser.html)에 등재된 것으로 5개 이내로 한다. 약자를 사용할 경우에는 반드시 그에 대한 설명이 있어야 한다.
5. 본문
1) 서론: 연구의 배경과 목적을 간결하고 명료하게 제시하며 배경에 관한 기술은 목적과 연관이 있는 내 용만을 포함한다.
2) 연구방법: 연구설계, 연구대상, 연구도구, 자료수집 및 분석 방법, 윤리적 고려 사항 등을 순서대로 소제목으로 나누어 기술한다.
3) 연구결과: 처리된 결과를 중심으로 명료하고 논리적으로 기술하며 도표에 있는 모든 자료를 본문에서 중복하여 나열하지 말고 중요한 결과만 요약하여 적는다.
4) 논의: 연구결과에서 중요하거나 새로운 소견을 강조하고 서론과 결과에서 언급된 것을 중복하여 기술 하지 않는다. 관련된 선행연구 결과와 연관하여 연구결과를 해석하며 결과의 적용, 연구의 제한점 등을 기 술한다.
5) 결론 및 제언: 연구목적과 연관하여 관찰 소견의 의미, 최종 결론만을 간략히 기술하며 연구방법이나 결과 등을 반복 기술하지 않는다. 제언은 연구결과에 준하여 향후 연구·교육·실무에서 이루어져야 할 사항 을 기술한다.
6. 주요용어는 보고서 첫 장의 상단에 국문으로 5개 이내로 기재하되, 가능한 영문 주요어와 동일하게 기재한다.
표 및 그림
1. 표, 그림은 국문으로 작성하고, 표와 그림을 합하여 5개 이내를 원칙으로 하며, 표와 그림의 내용이 중복되지 않도록 한다.
2. 표, 그림, 사진의 내용은 이해하기 쉽고 독자적 기능을 할 수 있어야 한다.
3. 표 작성원칙
1) 모든 선은 단선(single line)으로 하고, 종선(세로줄)은 긋지 않는다.
2) 표, 그림은 국문으로 작성하고, 표와 그림을 합하여 5개 이내를 원칙으로 하며, 표와 그림의 내용이 중복되지 않도록 한다.
예: 표 1. 일반적 특성
3) 표는 본문에서 인용되는 순서대로 번호를 붙인다.
4) 표에서 설명이 필요한 경우 각주에서 설명한다. 표에 사용한 비표준약어는 모두 표의 하단각주에서 설명한다.
예: PHC=Public Health Center; T=temperature.
5) 각주는 기호를 써서 설명하며 기호는 다음 순서로 사용한다. 어깨표시(†, ‡, §, ǁ, ¶, #, †, ‡)된 부분의 설명은 표의 좌 하단에 한다.
6) 소수점은 그 숫자값이 '1'을 넘을 수 있는 경우에는 소수점 앞에 0을 기입하고, '1'을 넘을 수 없는 경우에는 소수점 앞에 0을 기입하지 않는다.
예: t=0.33, F=0.81, r=.52, R2=.58
7) 유의확률을 나타내는 p값은 각주를 붙이지 않고 값을 그대로 기술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p값이 .000으로 나올 경우에는 p <.001로 기술한다.
8) 소수점 기재 시 유의수준은 소수점 3자리, 표준편차는 소수점 2자리까지, 백분율은 소수점 1자리 까지 기재하고, 그 외의 모든 실수 및 평균 자료는 소수 2째 자리까지 기재한다(예: p =.003, 25.91±3.22, 85.6%). 단, 통계수치의 특성상 소수점 기재를 투고규정에 맞추지 못할 경우는 그 이유를 표 하단에 주석으로 제시한다.
9) 부득이 유의확률 p값을 각주로 기록해야 할 경우 *, **를 사용하여 기록한다(예: *p <.05, **p <.01).
4. 그림 작성원칙
1) 그림 제목은 그림의 하단에 위치하며 본문에서 인용되는 순서대로 번호를 붙인다.
예: 그림1. 연구설계
2) 동일번호에서 2개 이상의 그림이 있는 경우, 아라비아 숫자 이후에 가, 나, 다,,, 글자를 기입하여 표시한다.
예: 그림 1-가, 그림 1-나
5. 그림 및 표는 출판규격 내의 A4 용지 크기 이하(가로 150mm × 세로 20mm)로 하여 흑색으로 선명 하게 그리며 설명은 별도로 작성한다.
6. 그림의 해상도는 30만 화소 이상, 파일 형식은 JPG로 작성한다.
본문 내 문헌의 인용
1. 문헌의 인용은 아래의 내용을 참고하여 모두 영문으로 하되, 아래 내용에 제시되지 않은 경우는 Citng Medicine: The NLM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Style Guide for Authors, Editors, and Publishers 제2판(2007) (htp:/www.nlm.nih.gov/citngmedicine)을 참고한다.
2. 본문 내에서 다른 저자가 같은 내용에서 인용될 때는 인용순서에 따라 번호를 붙인다.
예: 방문보건사업[1], 만성질환[2,3], 영양[4-6]
3. 본문에 한 참고문헌이 본문에서 계속 인용될 경우 같은 번호를 사용한다.
4. 본문에 저자 이름이 언급되는 경우에도 반드시 번호를 함께 사용하여야 한다. 1명인 경우는 Dimick [1], 2명인 경우는 Angrist와 Pischke [2]로, 3명 이상인 경우는 Ryan 등[3]으로 사용한다.
참고문헌 목록
1. 본문에 인용된 문헌은 반드시 참고문헌 목록에 포함되어야 한다. 인용문헌은 모두 영문으로 표기하 며 50개 이내로 하고 본문번호 순서에 따라 나열한다. 단 메타분석, 체계적 문헌고찰 등의 논문에서 인 용된 참고문헌은 부록으로 제시한다.
2. 참고문헌은 영문으로 작성된 논문일 경우 Citing Medicine: The NLM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Style Guide for Authors, Editors, and Publishers 제2판(2007)에 따라 영어로 표기하고 국문으로 작성된 논문은 국문으로 작성한다. 1) 영문 논문에서 잡지는 full name으로 기입하고, 단어마다 첫 자를 대문자로 표기한다. 3. 저자가 7인 이상일 때는 6명까지 모두 기입하고 나머지는 et al.로 표기한다. 1) 영문 논문은 6명까지 모두 기입하고 나머지는 et al.로 표기한다. 예: Mullahy CM, West SG, Sandler IN, Tein J, Coatsworth D, Lengual L, et al.
2) 국문 논문은 6명까지 모두 기입하고 나머지는 등 으로 표기한다.

보기
1) 정기간행물
(가) 학술지: 저자명. 논문명. 학술지명. 연도;권(호):시작페이지-마지막페이지 순으로 기재한다.
국문) 하재현, 이현주. 보건진료 전담공무원의 코로나19 대응경험.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22;33(2):139-152.
영문) Rao D, Chen WT, Pearson CR, Simoni JM, Fredriksen-Goldsen K, Nelson K et al. Social support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HIV stigma and depression/quality of life among people living with HIV in Beijing, China. International Journal of STD & AIDS. 2012;23(7):481-484.
(나) 출판중인 학술지의 논문
저자명. 논문명. 학술지명. Forthcoming. 지면 출간 예정연월일. 순으로 기재한다.
예: 지면 출간일을 아는 경우
국문) 최경원, 전경숙. 결혼이주여성의 우울 관련요인. 한국정신간호학회지. Forthcoming 2017. Dec. 20.
영문) Heale R, Dickieson P, Carter L, Wenghofer EF. Nurse practitioners' perceptions of interprofessional team functioning with implications for nurse manager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Forthcoming 2013 May 9.
예: 지면 출간일을 모르는 경우
국문) 조현미, 김석선. 요양시설입소 후기노인의 동기면담 기반 치매예방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지. Forthcoming. 2017.
영문) Scerri J, Cassar R. Qualitative study on the placement of Huntington disease patients in a psychiatric hospital: Perceptions of Maltese nurses. Nursing & Health Sciences. Forthcoming. 2013.
(다) 잡지기사
저자. 잡지기사명. 잡지명. 연도 날짜:페이지. 순으로 기재한다.
국문) 이경호. 합병증이 무서운 당뇨병. 엠디저널. 2017.11.22:5.
영문) Rutan C. Creating healthy habits in children. Parish Nurse Newsletter. 2012 May 15:5-6.
(라) 신문기사
기자. 기사명. 신문명. 연도 날짜; Sect.란. 순으로 기재한다.
국문) 이창곤. ‘나홀로 노인 빈곤층’ 10년 새 1.7배 증가. 한겨레. 2016.12.01;Sect. 03.
영문) Cho CU. Stem cell windpipe gives Korean toddler new life. The Korea Herald. 2013 May 02;Sect. 01.


2) 저서
(가) 단행본
저자. 서명. 판차사항. 출판지: 출판사; 연도. 전체 페이지 수 p. 순으로 기재한다.
국문) 이혜영, 조미영, 김윤주. 간호와 보건의료정책. 2nd ed. 서울: 계축문화사;2016. 278p.
영문) Peate I. The student's guide to becoming a nurse. 2nd ed. Chichester WS: John Wiley & Sons; 2012. 660p.
(나) 단행본 내의 한 장(chapter)
장(chapter) 저자. 장(chapter) 제목. In:편저자, editor(s). 서명. 판차사항. 출판지: 출판사; 연도. p. 페이지. 순으로 기재한다.
예: Miller CW. Applied cardiovascular physiology. In: Wingfield WE, Raffe M, editors. The veterinary ICU book. Jackson, WY: Teton New-Media; 2022. p. 1-14.
(다) 편저
편저자, editor(s). 서명. 출판지: 출판사; 연도. 순으로 기재한다.
국문) 이인숙, 최경원, 전경숙, 장숙랑, 진영란. 편저자. 보건프로그램의 기획과 평가. 서울: 현문사; 2014.
영문) Curley MAQ, Moloney-Harmon PA, editors. Critical care nursing of infants and children. Philadelphia, PA: W.B.Saunders Co.; 2001.
(라) 저자나 편집자가 없는 경우
서명. 판차사항. 출판지: 출판사; 연도. 순으로 기재한다.
예: Resumes for Nursing Careers. New York, NY: McGraw Hill Professional; 2007.
(마) 백과사전, 사전
(편)저자. 사전명. 판차사항. 출판지: 출판사 연도. 순으로 기재한다.
(편저자의 경우 기재 방식에 유의해서 작성)
예: Snodgrass, Mary Ellen. Historical encyclopedia of nursing. Darby, PA: Diane Publishing Company; 2004. Fitzpatrick JJ, Wallace M, editors. Encyclopedia of nursing research. 3rd ed. New York, NY: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012.
(바) 번역된 책
원저자. 번역서명. 판차사항. 역자. 출판지: 출판사; 연도. 순으로 기재한다.
예: Stuart G. Principles and practice of psychiatric nursing. 9th ed. Kim SS, Kim KH, Ko SH, translator. Philadelphia, PA: Mosby; 2008.


3) 연구보고서
저자. 보고서 제목. 출판지: 기관(대학); 출판일. 보고서 번호. 순으로 기재한다.
국문) 설동훈, 김윤태, 김현미, 윤홍식, 이혜경, 임경택 등. 여성결혼이민자 생활실태조사결과 및 보건복지부 대책방안. 보건복지부 연구보고서. 세종: 보건복지부; 2005 06. 11-1460000- 002610-01.
영문) Perio MA, Brueck SE, Mueller CA. Evaluation of 2009 pandemic influenza A (H1N1) virus exposure among internal medicine housestaff and fellows. Salt Lake City, Utah: University of Utah School of Medicine; 2010 October. HETA 2009-0206-3117.


4) 학위논문
학위논문은 가급적 인용하지 않도록 하며, 단 필요한 경우 전체 인용문헌의 10%를 넘지 않는다. 참고문 헌 내 학위논문 인용은 저자. 논문명 [학위 유형]. [출판지]: 수여대학; 출판연도. 전체 페이지 수 p. 순으 로 기재한다
. (가) 박사학위논문
국문) 진혜영. 중환자실 병원감염발생 특성 및 위험요인 분석 연구. [박사학위논문].[서울]: 연세대학교; 2005. 276 p.
영문) Wilfley DE. Interpersonal analyses of bulmia: Normal weight and obes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olumbia]. University of Missouri; 1989.145 p.
(나) 석사학위논문
국문) 이지우. 취약계층 노인의 낙상두려움 영향요인 및 낙상예방 효능감의 매개효과. [석사학위 논문]. [서울]: 서울대학교; 2009. 111 p.
영문) Park YS. The effect of adherence of medication for hypertensive patients on the healthcare utilization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19. 59 p.


5) 이차 자료에서의 인용
이차 자료는 일차 자료를 찾을 수 없는 불가피한 상황에서만 사용하고, 일차자료에서 인용되었음을 참고문헌에 밝힌다.
예: Gordis E. Relapse and craving: A commentary. Alcohol Alert. 1989;6:3. Cited by Mason BJ, Kocsis JH, Ritvo EC, Cutler RB. A double-blind, placebo controled trial of desipramine for primary alcohol dependence stratifi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major depression, JAMA. 1996;275:761-767.


6) 학술회의나 심포지엄의 자료(Proceedings)
(가) 미출간 구두발표자료(Oral session)
저자. 발표 제목. Paper presented at: 학술대회명 학술대회 일시; 학술대회 장소. 학술대회 지명. 순 으로 기재한다.
예: Bryar R. The primary health care workforce development roadmap. Paper presented at: The public health nursing contribution to primary health care 3rd International public health nursing conference; 2013 August 25-1;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Galway (NUIG). Galway.
(나) 미출간 포스터발표자료(Poster Session)
저자. Poster 제목. Poster session presented at: 학술대회명; 학술대회 일시; 학술대회 장소. 학술대회 지명. 순으로 기재한다.
예: Bigbee J. Promoting the health of the population: Public health nursing leading the way. Poster session presented at: The public health nursing contribution to primary health care 3rd International public health nursing conference; 2013 August 25-1;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Galway(NUIG). Galway.
(다) 출간 발표자료
저자. 제목. 학술대회명; 학술대회 일시; 학술대회 장소. 학술대회 지명: 출판사; 출판연도. 전체 페이 지 수 p. 순으로 기재한다.
예: Pacak K, Aguilera G, Sabban E, Kvetnansky R, editors. Stress: current neuroendocrine and Stress; 2003 Jun 28-Jul 3; Smolenice Castle, Slovakia. New York: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2004 Jun. 590 p.
예: Dostrovsky JO, Carr DB, Koltzenburg M, editors. Proceedings of the 10th World Congress on Pain; 2002 Aug 17-22; San Diego, CA. Seattle: IASP Press; c2003.
7) Web 자원
저자. 제목 [Internet]. 출판지: 출판사. 연도 [cited 인용 연도 날짜]. Available from: URL. 순으로 기재한다.
예: 통계청. 2010 한국생명표[Internet]. 서울: 한국 통계청. 2011[cited 2012 January 16].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3/index.board?bmode=read&aSeq =252533. /index.board?bmode=read&aSeq=252533
기타
이 규정에 명시되어 있지 않은 사항은 『한국방문건강관리학회지』의 편집방식에 따른다.
부 칙
1. 이 규정은 2023년 3월 25일부터 시행한다.
2. 이 규정은 2024년 3월 10일부터 시행한다.


겉표지 작성 안내 자가점검사항 저작권이양동의서